방산주 종목별 비교&정리 - 인테리어하는 베베토
주식 / / 2025. 3. 5. 21:13

방산주 종목별 비교&정리

목차

    반응형

    방산주 종목 정리



    한국의 방위산업은 첨단 기술과 혁신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요 방산주 기업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한국의 주요 방산주 종목들과 그들의 주요 사업 목적 및 재무 정보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72210)

    주요 사업 목적: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고도의 정밀기계 분야의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항공기 및 가스터빈 엔진, 자주포, 장갑차 생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CCTV, 칩마운터, 우주발사체, 위성시스템 등의 생산 및 판매와 IT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재무 정보:

    • 매출 비중 (2024년 1분기 기준): 방산 부문 51.3%, 시큐리티 30.3%, 항공 부문 18.5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 한국항공우주 (047810)

    주요 사업 목적:

    한국항공우주는 항공기, 우주선, 위성체, 발사체 및 동 부품에 대한 설계, 제조, 판매, 정비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T-50 고등훈련기, 수리온 기동헬기, 송골매 무인기, KT-1 기본훈련기 등이 있으며, 현재는 KF-21(한국형 전투기)와 LAH/LCH(소형무장/민수헬기) 개발 및 생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재무 정보 (2023년 추정치):

    • 매출액: 3조 7,182억 원
    • 영업이익: 2,305억 원
    • 당기순이익: 1,989억 원
    • 영업이익률: 6.20%

    또한, 2023년 방산 부문 매출이 15억 7,031만 달러로 전년 대비 3단계 상승한 글로벌 방산업체 56위를 기록했습니다.

    한국항공우주

    3. LIG넥스원 (079550)

    주요 사업 목적:

    LIG넥스원은 1976년 설립된 금성정밀공업을 모태로, 정밀유도무기,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 항공전자, 전자전에 이르는 다양한 첨단 무기체계를 연구, 개발 및 양산하는 종합방위산업체입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PGM(정밀타격), ISR(감시정찰), AEW(항공전자/전자전), C4I(지휘통제/통신) 등이 있습니다.

    재무 정보 (2023년):

    • 매출액: 2조 4,299억 원
    • 영업이익: 1,922억 원
    • 당기순이익: 1,581억 원
    • 영업이익률: 7.91%

    LIG넥스원은 2023년 17억 9,846만 달러의 방산 매출을 기록해 글로벌 방산업체 52위에 올라섰으며, 전년도 대비 10 계단 상승하며 국내 방산업체 중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습니다.

    LIG넥스원

    4. 한화시스템 (272210)

    주요 사업 목적:

    한화시스템은 군사장비의 제조 및 판매를 담당하는 방산 부문과 IT 아웃소싱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ICT 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핵심 사업으로는 군위성통신체계-Ⅱ,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대대급전투지휘체계(B2CS), 개인전투체계, 한국형 전투기(KF-X) 사업 등이 있습니다.

    재무 정보 (2023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 매출액 증가율: 19.4% 증가
    • 영업이익 증가율: 123% 증가
    •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

    방산 부문 양산 사업과 ICT 부문의 계열사 IT 수요 증가로 매출이 증가하였으며, TICN 4차 양산, 30mm 차륜형대공포 양산 사업 등의 매출 증가로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한화시스템

    5. 스페코 (013810)

    주요 사업 목적:

    스페코는 1979년 설립되어 아스팔트 플랜트 제조, 생산, 수출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플랜트, 크러셔, 풍력 및 방산 설비 사업으로도 확장하였습니다. 전 세계 2,500여 개의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충북 음성) 및 멕시코 Monclova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습니다.

    상장: 1997년 11월 3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 재무 정보 (2023년):
      • 매출액: 16억 8,835만 원
      • 영업이익: 1억 2,812만 원
      • 당기순이익: 2,729만 원
      • 자본금: 1억 원
      재무 지표:
      • 영업이익률: 7.6%
      • 당기순이익률: 1.6%
      산업 내 위치:
      • 활동성: 하위
      • 수익성: 중위
      • 안정성: 중위
      • 성장성: 중위
      신용등급: 보통
      스페코는 2023년 기준 매출액 16억 8,835만 원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이익은 1억 2,812만 원으로 영업이익률은 7.6%를 보였습니다. 당기순이익은 2,729만 원으로, 당기순이익률은 1.6%를 나타냈습니다. 자본금은 1억 원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신용등급은 '보통'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스펙코



    6. 대성하이텍 (129920)

    주요 사업 목적:

    대성하이텍은 1995년 설립되어 산업기계용 정밀 부품 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재무 정보 (2023년):

    • 매출액: 876억 3,513만 원
    • 영업이익: -8,402만 원
    • 당기순이익: 6억 2,090만 원
    • 자본금: 2억 원

    재무 지표:

    • 매출액 성장률: 21.5% 증가
    • 영업이익률: -0.1%
    • 당기순이익률: 0.7%

    산업 내 위치:

    • 활동성: 상위
    • 수익성: 최하위
    • 안정성: 상위
    • 성장성: 상위

      신용등급: 보통
      대성하이텍은 2023년 매출액 876억 3,513만 원으로 전년 대비 21.5% 증가하였으나, 영업이익은 -8,402만 원으로 적자를 기록하였습니다. 반면, 당기순이익은 6억 2,090만 원으로 흑자를 보였으며, 자본금은 2억 원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활동성과 성장성 측면에서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으나, 수익성은 개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대성하이텍

    실시간 주식 시세 및 차트

    🔹 실시간 주식 시세 및 차트 🔹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