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응형
✅ 유통사 정보
▶️ 다음과 같은 무료 유통사들이 있습니다:
유통사 | 특징 | 무료 조건 |
Frekul (프리쿨) | 일본 로컬 플랫폼 중심, 아티스트 홍보 중심 | 무료 배포, 수익 일부 수수료 |
Soundrop | 인디/게임 음악 특화, 글로벌 커버 가능 | 수익에서 수수료 차감 |
Amuse | 스웨덴 기반, 모바일 앱만으로도 가능 | 무료 플랜 존재 (프리미엄도 있음) |
Routenote (루트노트) | 글로벌 유통 가능, 유튜브 콘텐츠 ID 지원 | 무료 플랜 있음, 수익 분배 85:15 |
FreshTunes | 러시아 기반, 글로벌 서비스 배포 | 100% 무료 (광고 기반 모델) |
🎯 추천 전략
- 일본 시장에만 집중하려면 → Frekul이나 TuneCore Japan (유료)
- 글로벌 포함한 폭넓은 유통이 목표라면 → Routenote나 Amuse (무료부터 시작 가능)
- 무료로 테스트 후, 수익이 나면 유료 유통사로 전환하는 것도 좋은 전략
✅ 유료 vs 무료 유통사의 차이점
구분 | 유료 유통사 | 무료 유통사 |
수익 분배 | 거의 100% 수령 | 일부 수수료 차감 (15~30%) |
등록비 | 있음 (연간 구독료, 예: TuneCore, DistroKid) | 없음 |
지원 속도 | 빠름 (1~3일 내 발매) | 느릴 수 있음 (최대 2주 이상) |
검수 기준 | 완화됨 (비교적 자유로운 발매) | 타이트함 (콘텐츠 품질 심사 가능성 있음) |
고객지원 | 공식 대응 있음, 이메일/채팅 지원 | 대응 느리거나 없음 |
플랫폼 커버 | 글로벌+로컬 모두 가능 | 일부 플랫폼 한정 |
마케팅 도구 | 있음 (프리세이브 링크, 스마트링크 등) | 거의 없음 또는 제한적 |
🎯 요약
- 무료 유통사는 진입장벽이 낮고, 테스트용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하지만 수익 분배율, 발매 속도, 지원 면에서 제한적입니다.
- 유료 유통사는 전문적인 유통과 수익화에 최적이며, 장기적인 활동을 고려한다면 훨씬 효율적입니다.
- 일본 시장을 타깃으로 한다면, Frekul(무료), TuneCore Japan(유료) 두 가지 중 선택이 가장 좋습니다.
반응형
✅ 유료 유통사에 지급하는 비용 및 지급 구조
유료 유통사에 지급하는 비용은 보통 "연간 고정 요금제" 또는 "곡/앨범당 등록비" 형태로 청구되며, 수익은 일반적으로 100% 아티스트가 수령하는 구조입니다. 다만, 플랫폼마다 요금 체계와 수익 정산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대표적인 유료 유통사들의 비용 구조와 수익 지급 방식을 정리해 드릴게요.
✅ 대표 유료 유통사별 비용 및 수익 구조
1. TuneCore Japan 🇯🇵
일본 시장 유통에 최적화된 플랫폼
항목 | 비용 |
싱글(1곡) | 1년: ¥1,410 / 2년: ¥2,486 (세금 포함) |
앨범(2곡 이상) | 1년: ¥5,173 / 2년: ¥9,329 |
ISRC 코드 발급 | 무료 |
유통 플랫폼 수 | 50개 이상 (LINE MUSIC, Apple, AWA, Spotify 등) |
수익 지급 구조 | 100% 수령 (수수료 없음) |
정산 기준 | 월별, 일본 은행 계좌 필요 (Payoneer도 일부 지원) |
2. DistroKid 🌍
전 세계 배포 + 빠른 서비스, 인디 아티스트에 인기
항목 | 비용 |
연간 요금제 | $22.99/년부터 (무제한 업로드 가능) |
아티스트 추가 | 기본 1명, 추가 시 요금 상승 |
ISRC 코드 | 자동 생성 무료 |
유통 플랫폼 수 | 150개 이상 (글로벌 포함) |
수익 지급 구조 | 100% 수령, 단 YouTube Content ID는 수수료 20% |
정산 기준 | 월 1회, PayPal 또는 은행 계좌로 송금 가능 |
3. LANDR Distribution 🎧
마스터링+유통 통합 서비스
항목 | 비용 |
연간 플랜 | $89/년 (유통+마스터링 포함) |
싱글 등록 | 개별 등록은 불가, 구독 필수 |
수익 지급 구조 | 100% 수령, 일부 기능 수수료 있음 |
정산 방식 | PayPal 또는 Stripe 이용 가능 |
4.ONErpm🌎
신생 아티스트도 가능, 수수료형 구조
항목 | 비용 |
연간 플랜 | 초기 비용 없음(무료 등록) |
수익 분배 | 85% 아티스트 / 15% 플랫폼 |
특징 | 고품질 유통 가능, 대형 아티스트도 사용 |
정산기준 | 일정 수익 이상 발생 시 출금 |
✅ 정산 및 수익 지급 방식 요약
유통사정산 | 주기 | 지급 방식 | 출급 기준 |
TuneCore Japan | 매월 | 일본 은행 계좌 (또는 일부 해외 송금) | 없음 |
DistroKid | 매월 | PayPal, 은행 송금 | $2 이상 |
LANDR | 월 1회 | Stripe, PayPal | 약 $5 이상 |
ONErpm | 월 1회 | PayPal, 은행 송금 | $100 이상 (국가에 따라 다름) |
💡 유료 유통사의 장점 요약
- ✔️ 수익 100% 수령 가능
- ✔️ 빠른 배포 (2~3일 이내 대부분 플랫폼 반영)
- ✔️ 수십 개 플랫폼에 자동 유통
- ✔️ ISRC 코드, 앨범 관리 도구 제공
- ✔️ 브랜드·음반사처럼 꾸준한 관리 가능
⚠️ 참고 팁
- 일본 유통 시 일본 은행 계좌가 없으면, Payoneer(페이오니어) 계정을 연결해서 수익 수령이 가능함.
- 세금 문제나 외화 수령 규정은 각 국가 법률에 따르므로, 정산 받을 계좌의 국가 설정도 중요함.
일본 음원 유통사에 대한 방법 및 절차 가이드
✅ 일본 음원을 일본 유통사를 통해 등록해야 하는 이유1. 일본 현지 음원 플랫폼 연동 최적화일본에서는 LINE MUSIC, AWA, RecoChoku, mora, dミュージック 같은 로컬 음원 서비스가 매우 강력합니다.글
bebetolife.tistory.com
반응형
'사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유통사 추천 및 장단점 (0) | 2025.05.03 |
---|---|
일본 음원 유통사 등록방법 및 수익 안내 (0) | 2025.05.03 |
일본 음원 유통사에 대한 방법 및 절차 가이드 (0) | 2025.05.02 |
스포츠 토토, 판매하는 사람들의 조건은? (0) | 2025.05.01 |
가게 양수 양도 방법 및 절차 (1)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