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음원 유통사에 대한 방법 및 절차 가이드 - 잡학다식 베베토
사업정보 / / 2025. 5. 2. 06:56

일본 음원 유통사에 대한 방법 및 절차 가이드

목차

    반응형

     

    ✅ 일본 음원을 일본 유통사를 통해 등록해야 하는 이유

    1. 일본 현지 음원 플랫폼 연동 최적화

    • 일본에서는 LINE MUSIC, AWA, RecoChoku, mora, dミュージック 같은 로컬 음원 서비스가 매우 강력합니다.
    • 글로벌 유통사(예: DistroKid, TuneCore 글로벌 버전)는 이들 중 일부만 연동되거나 느리게 반영됩니다.
    • 일본 유통사를 쓰면 더 빠르고 광범위하게 배포됩니다.

    반응형

    2. 저작권 협회(JASRAC 등) 연동 및 정산 용이

    • 일본은 저작권 관리에 매우 엄격하며, 작사/작곡자 등록과 수익 정산을 JASRAC(일본저작권협회) 등을 통해 진행합니다.
    • 일본 유통사는 JASRAC과 긴밀히 연동돼 있어, 정산이나 저작권 등록이 원활합니다.

    3. 일본어 메타데이터 및 제목 처리 정확도

    • 일본 유통사는 곡 제목, 아티스트 이름, 가사 등의 일본어 등록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일본어 필드 오류가 적습니다.
    • 글로벌 유통사는 간혹 일본어 인코딩 문제나 등록 제한 이슈가 발생합니다.

    🇯🇵 일본 유통사 추천

    TuneCore Japan가장 대표적인 일본 유통사, 일본 내 거의 모든 음원 플랫폼과 연동됨

    유통사 특징
    NexTone JASRAC 외 저작권 관리도 함께 가능한 곳
    Frekul 무료 배포 서비스도 제공, 신인 크리에이터에게 친화적
    BIG UP! 에이벡스(Avex) 계열, J-pop 스타일 음악에 강함

    💡 참고: TuneCore Japan은 수수료는 있지만, Spotify, Apple Music은 물론 일본 로컬 서비스까지 동시에 배포 가능하며 외국인도 이용 가능.

    여러 유통사에 동시에 배포 가능한가?

    ▶️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권장되지 않습니다.

    ❗ 왜냐하면:

    • 중복 유통 문제가 발생합니다.
      → 동일 음원이 같은 플랫폼(예: Spotify, Apple Music)에 두 번 업로드되면, 서비스 측에서 저작권 이슈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정산 혼선이 생깁니다.
      → 어떤 유통사를 통해 들어온 스트리밍 수익인지 파악이 어렵고, 정산이 꼬일 수 있음.
    • 일부 유통사는 독점 계약을 요구합니다.
      → 예: TuneCore Japan은 일정 기간 내 다른 유통사를 통한 동일 음원 등록을 제한.

    ✅ 대안 전략:

      • 하나의 유통사를 선택해 전 세계 배포
        → 예: TuneCore Japan, DistroKid, ONErpm 등은 글로벌 + 일본 로컬 서비스까지 포함함.

     

    • 또는, 곡별로 유통사를 달리 선택 (A곡은 유통사 ①, B곡은 유통사 ②)

    ✅ 유통사별 수익 분배 구조

    유통사 수익 분배율 수익 모델 설명
    TuneCore Japan (유료) 100% 연간 등록비만 내면 모든 수익은 아티스트에게
    Frekul (무료) 약 70~80% 광고 수익 기반 / 일부 플랫폼 수익 분배
    Routenote (무료 플랜) 85% 수익 중 15%를 플랫폼이 가져감
    Routenote (프리미엄) 100% 연간 이용료 지불 시, 수익 전액 수령
    DistroKid (유료) 100% 연간 구독료만 내면 수익 100% (단, 유튜브 수익은 일부 제외)
    Amuse (무료 플랜) 100% 단, 검수 통과 기준이 있고 느릴 수 있음
    FreshTunes (무료) 100% 무료 수익 분배, 단 플랫폼별 수익 정확성은 낮은 편

    ✅ 실제 등록 절차 (공통 기준)

    대부분의 유통사는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

    📥 1. 회원가입 및 아티스트 프로필 생성

    • 아티스트 이름, 프로필 이미지, SNS 연동 등 기입

    🎵 2. 음원 업로드

    • WAV 형식 권장 (44.1kHz, 16bit 이상)
    • 파일명: 영어 또는 일본어로, 특수기호 최소화

    📝 3. 메타데이터 입력

    • 곡 제목, 아티스트명, 피처링 정보
    • 작사/작곡 정보 (자작 또는 기타 표기)
    • ISRC 코드 자동 생성 가능

    🖼 4. 앨범 아트 등록

    • JPG/PNG 형식, 3000 x 3000 픽셀 권장
    • 텍스트와 이미지 저작권 이슈 없는 것만 사용

    🎯 5. 유통 채널 선택

    • Spotify, Apple Music, YouTube Music, LINE MUSIC 등 체크박스 방식

    📆 6. 발매일 선택 및 유통 신청

    • 신청 후 심사 거쳐 2~14일 내 발매

    ✅ 음원 포맷 기준

    파일 형식 WAV (무손실) 또는 FLAC 권장, MP3도 일부 허용
    샘플레이트 44.1kHz 권장
    비트 깊이 16bit 이상
    스테레오 모드 Stereo (Mono는 일부 플랫폼 제한)
    파일명 영어/일본어 권장, 특수문자 X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