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응형
출산으로 인한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데 두가지의 경우에 대하여 어떤점이 다른지 알아보았습니다.
해산급여 | 출산장려금 |
의료비 지원: 출산 시 병원비 일부 지원 (건강보험공단 지급) | 정책 지원금: 출산 장려를 위한 지자체별 추가 혜택 |
지급액: 60~100만 원 (쌍둥이 시 추가 지원) | 50~200만 원 (지역·아동 수 따라 차등) |
반응형
해산급여
해산급여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일환으로,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를 받고 있는 수급자가 출산할 때 지급되는 금전적 지원입니다.
지원 대상:
-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수급자 중 출산(출산 예정 포함)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 교육급여만 받는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지급 금액:
- 기본적으로 1인당 70만원이 지급되며, 추가 출생 영아(쌍둥이 등)의 경우 1인당 70만원이 추가 지급됩니다.
신청 방법:
- 복지대상자 해산급여 지원 신청서를 관할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제출해야 하며, 출생신고와 동시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출산장려금
출산장려금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지급하는 금전적 지원으로, 주로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목적입니다.
지원 대상:
- 출산장려금은 지역별로 다르며, 일반적으로 모든 가정에 지급됩니다. 특정 조건(예: 첫째, 둘째, 셋째 아 출산 등)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지급 금액:
- 출산장려금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첫째 아이부터 셋째 아이 이상까지 차등 지급됩니다.
- 예를 들어, 지역별 첫째 아이 50만원, 둘째 아이 100만원, 셋째 아이 200만원을 지급하는 식입니다.
신청 방법:
- 출산장려금은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각 지역의 정책에 따라 신청 절차가 다를 수 있습니다.
결론
해산급여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게 지급되는 지원으로, 출산 시 필요한 비용을 보조하는 것이고, 출산장려금은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지역별로 지급되는 금전적 지원입니다. 두 제도 모두 출산 가정에 도움을 주지만, 지원 대상과 지급 조건이 다르므로 각각의 내용을 잘 이해하고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HD 아이에게 부모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 5가지 (0) | 2025.04.22 |
---|---|
반려동물 보험, 펫보험과 고양이 보험 비교 가이드 (1) | 2025.04.20 |
국민참여재판이란? 제도 취지, 절차, 장단점 정리 (0) | 2025.04.20 |
교통사고, 어느 병원에서 치료 받아야 좋을까? (0) | 2025.04.20 |
보청기 국가 보조금으로 최대 131만원 지원금 받기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