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이오의 우회상장, 재상장 분석 - 잡학다식 베베토
주식 / / 2025. 4. 15. 23:01

알바이오의 우회상장, 재상장 분석

목차

    반응형

    라정찬 박사의 알바이오의 우회상장 가능성을 분석해보았습니다.

     

    🔍 네이처셀(Nature Cell)과 라정찬 회장의 관계

    • 네이처셀은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으로, 라정찬 회장이 실질적으로 경영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 주요 사업 분야는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이며, 주력 파이프라인은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조인트스템)입니다.
    • 네이처셀은 알바이오와 전략적 제휴관계에 있으며, 실제로 두 회사는 줄기세포 관련 임상과 기술개발에서 긴밀하게 협력해왔습니다.

    반응형

    🔬 네이처셀의 임상 3상 진행 상황 (2025년 기준)

    • **조인트스템(퇴행성 관절염 치료제)**은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임상 3상 승인을 받아 진행 중입니다.
    • 2023년~2024년 사이 임상 3상 환자 모집을 완료했고, 현재는 임상 3상 결과 분석 단계에 있습니다.
    • 네이처셀은 임상 3상 완료 후 조건부 품목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성공 시 시장 내 상업화가 가시화될 수 있음.
    • 주가에도 민감한 이슈로, 라정찬 회장은 과거에도 허위 과장 발표 논란으로 검찰 수사를 받은 전력이 있어 공시 신뢰도에 대한 시장의 경계심도 존재합니다.

    ⚠️ 알바이오(Albio)의 상장폐지 배경 및 현재 상태

    • 알바이오는 2020년경 한국거래소로부터 감사보고서 의견 거절 및 자본잠식 등의 이유로 상장폐지 되었습니다.
    • 현재는 비상장사이며, 여전히 라정찬 회장이 경영을 맡고 있음.
    • 네이처셀과 함께 줄기세포 치료제 공동 연구 및 임상 실험을 병행하고 있지만, 별도의 법인이며 상장사의 공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정보가 제한적입니다.

     


    🔎 알바이오 재무 상태 (공개 정보 기준)

    • 비상장기업이므로 외부에 공개된 감사보고서나 사업보고서가 없음.
    • 과거 마지막 감사보고서(2019~2020년)에서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 불확실성이 언급되었고, 이후 개선되지 못해 상장폐지.
    • 2025년 현재까지도 법원 등기부등본, 채권 추심 자료 등을 통한 간접적 추정 외에는 구체적 재무자료는 확보되지 않음.
    • 법인등기부상 본점 및 임원 변화는 지속적으로 갱신되고 있으나, 실질 영업활동에 대한 자료는 거의 없음.

    🔁 알바이오의 재상장 또는 우회상장 가능성

    ✔ 재상장(재상장 심사)

    • 상장폐지된 기업이 동일한 사업구조와 재무 상태로 재상장을 시도할 경우, 한국거래소의 심사를 새로 받아야 하며, 일반 상장보다 훨씬 엄격한 요건을 충족해야 함.
    • 특히 기존 주주 피해와 과거 회계 부실, 자본잠식 이력 등이 걸림돌로 작용.
    • 현재 공개된 정보만 보면, 알바이오가 단독으로 재상장을 진행할 가능성은 낮음.

    ✔ 우회상장 가능성

    • 우회상장이란 비상장사가 기존 상장법인과 합병하여 상장 자격을 획득하는 방법입니다.
    • 알바이오는 자본력 및 회계 투명성이 부족하여 단독 우회상장은 어려워 보이며, 가능하다면 아래 방식 중 하나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

     

    우회상장 가능 시나리오

    1. 네이처셀의 자회사화 → 분할 후 합병
      • 네이처셀이 알바이오를 100% 자회사로 편입한 뒤, 자회사 사업부문을 네이처셀에 흡수시키는 형태.
      • 하지만 이는 규제 당국의 승인과 주주총회 통과가 필요하며, 기존 주주의 반발과 우회상장 규제에 걸릴 수 있음.
    2. 다른 코스닥 상장사와의 합병
      • 제3의 코스닥 기업과 합병을 통해 상장사에 편입될 수 있으나, 자금력, 신뢰성, 경영진 평판이 큰 장벽으로 작용.
    3. 해외 상장 시도 (예: 나스닥, 홍콩)
      • 국내 재상장이 어려운 경우, 해외 상장을 시도할 수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알바이오의 기술력 입증 및 재무구조 미비로 쉽지 않음.

    🧾 종합 분석 및 결론

    항목 평가
    네이처셀 임상 3상 진행 중 (2025년 결과 발표 예상)
    알바이오 재무 상태 불투명, 공개자료 부족, 과거 자본잠식
    재상장 가능성 낮음 (과거 이력 및 요건 미충족)
    우회상장 가능성 이론적으로 가능하나, 실현 가능성 낮음 (자본력 및 규제 리스크)
    라정찬 회장 리스크 과거 허위공시 및 시장 불신 요인 존재

    📌 향후 주의 깊게 봐야 할 포인트

    1. 네이처셀의 임상 3상 결과 발표 시점 및 품목허가 여부
    2. 알바이오 법인 등기부의 주요 변동 (신규 투자, 임원 교체 등)
    3. 네이처셀의 자회사 구조 개편 여부
    4. 금감원 공시 또는 거래소 우회상장 관련 경고 발표 유무

    ✅ 결론

    • 알바이오의 직접적인 재상장 또는 우회상장 가능성은 매우 낮은 상황입니다.
    • 다만, 네이처셀의 임상 성공 여부에 따라 알바이오의 특허나 기술 가치가 재조명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 라정찬 회장이 네이처셀 중심으로 줄기세포 사업을 밀고 있기 때문에, 알바이오가 실질적인 상장 목표보다는 기술 제공 및 R&D 기지 역할을 지속할 가능성이 큽니다.

     

     

    네이처셀 FDA승인... 알바이오 재상장 할 수 있을까?

    네이처셀(007390)의 자회사 조인트스템이 개발한 중증 무릎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치료제가 미국 FDA로부터 **'혁신적 치료제(Breakthrough Therapy Designation, BTD)'**로 지정받은 것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bebetolife.tistory.com

     

     

    "알바이오 장외시장 현황과 재무제표 분석

    1. 알바이오, 장외시장(K-OTCBB)서 자금 유입바이오 기업 알바이오(003190)가 2025년 4월 현재 장외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 K-OTCBB에 따르면, 4월 1일부터 9일까지 알바이오의 장외

    bebetolife.tistory.com

     

     

    저평가 바이오 종목 세기업 재무비교 분석

    한국의 저평가된 바이오 기업을 찾기 위해서는 재무제표 분석과 산업 동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았습니다.아래는 해당 종목별 주요 재무 지표와 함께 검토할 기업군의 예시 및 분석 방법을

    bebetolife.tistory.com

     

     

    2025년, 제2의 테슬라·엔비디아가 될 수 있는 미국 주식들

    사는 종목마다 상장폐지종목이었던 흙수저가 안 먹고 안 놀고 안 사고 절약에 절약으로 1년에 100만 원도 안으면서라면 2개로 일주일을 살았던 굶주린 삶을 살면서 3억을 잃었습니다.알바이오,

    bebetolife.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