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보통신 재무지표 및 주가 분석 - 잡학다식 베베토
주식 / / 2025. 3. 25. 21:21

한국정보통신 재무지표 및 주가 분석

목차

    반응형

    한국정보통신 차트

     

    한국정보통신 주요 정보 분석

     

    기업 개요

    한국정보통신(주)은 1986년 설립된 코스닥 상장 기업으로, 신용카드 결제 중개 및 금융 VAN(Virtual Account Network) 서비스를 주력으로 삼고 있습니다. 주요 브랜드로 EasyCheck(신용카드 단말기)와 EasyPOS(포스 시스템)를 운영하며, 국내 최초로 신용카드 VAN 사업을 도입한 선두 기업입니다. 2025년 기준 272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서울 중구 세종대로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핵심 사업 분야

    1. 결제 인프라:
      • 신용카드 가맹점과 발행사 간 거래 중개(전체 매출의 97% 차지)
      • 모바일 결제 플랫폼 '이지페이 9.0' 서비스 운영
      • 인천공항 세금환급 자동화 시스템 운영
    2. 디지털 혁신:
      • 메타버스 결제 시스템 개발을 위해 2022년 (주)메버와 협약 체결
      • AI 기반 대기 관리 프로그램 'EasyWaiting' 출시

    산업적 위상

    • 시장 점유율: 국내 금융 VAN 시장에서 99.9%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독보적 위치 확보
    • 글로벌 협력: 2014년 알리바바 계열사 알리페이와 기술 제휴로 해외 진출 기반 마련

    정부 지원 및 규제 환경

    • ICT 정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도로 디지털 전환 전략 추진(연간 1조 원 이상 AI 연구 투자)
    • 클라우드 규제: 공공기관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의무화로 외국계 기업 진입 장벽 발생

    연구개발 동향

    • 한국정보통신산업연구원(KICI)이 5G/6G 통신 표준 및 양자암호 기술 연구 주도
    •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스마트팩토리/디지털헬스 분야 육성 프로그램 운영

    시장 전망

      • 2023년 국내 ICT 시장 규모 50조 원 돌파
      • 2025년까지 클라우드 시장 7조 원, AI 시장 12조 원 성장 전망

     


    반응형

     

    한국정보통신 재무상태 (2025년 3월 기준 4분기가 나오지 않은 상태입니다)

    주요 재무 지표 (2024년 9월 기준)

    • 매출액: 1,974억 원
    • 영업이익: 131억 원
    • 당기순이익: 403억 원
    • 주당순이익(EPS): 1,077원
    • 주가순자산비율(PBR): 0.97

    주요 재무 항목 (2024년 9월 기준)

    • 유동자산: 17,437억 원
    • 비유동자산: 18,537억 원
    • 총자산: 35,974억 원
    • 유동부채: 13,010억 원
    • 비유동부채: 1,803억 원
    • 총부채: 14,813억 원
    • 자본총계: 21,161억 원

    성장성 지표 (전년 동기 대비)

    • 매출액 증가율: 9.3%
    • 영업이익 증가율: 3.3%
    • 당기순이익 증가율: 45.4%

     


     

     

    한국정보통신 실적상황

     

    이 표를 보면 실적은 계속 상승하는데 주식은 무너지고 있습니다.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입니다.

    배당금도 주지 않으면서....

    주요 재무 지표 평가

    지표 22년 23년 24년 평가
    EPS(원) 583 804 1,164 증가: 꾸준한 EPS 증가는 기업의 수익성 향상을 나타냅니다.
    PER(배) 19.55 11.81 6.74 감소: PER 감소는 주식이 저평가될 가능성을 시사하며, 투자 매력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BPS(원) 6,792 7,585 8,647 증가: BPS 증가는 기업의 자산 가치가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PBR(배) 1.68 1.25 0.91 감소: PBR 감소는 주식이 순자산 가치에 비해 저평가될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종합 평가

    • 수익성: EPS가 꾸준히 증가하며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 성장성: BPS 증가로 자산 가치가 상승하며 성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안정성: PBR이 1 이하로 감소하며 저평가 가능성이 있습니다.
    • 투자 매력도: PER 감소와 PBR 감소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정보통신 보유지분

     

    위에 보시듯 박헌서 회장이 가장 많은 지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박헌서는 한국정보통신의 회장으로 1938년 강원도 평창에서 태어나 경동고등학교와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 코넬대학교에서 정보통신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G.T.& E 정보통신연구소 책임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습니다. 1986년 한국정보통신을 창업하여 VAN 서비스, 전자지불결제대행(PG) 서비스, 스마트로 서비스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박헌서 회장은 한국 IT의 1세대 기업인으로 정보통신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그런데 주식은 왜 이따구일까 의심이 듭니다.

     


    한국정보통신(025770) 주가 하락 이유 분석

    한국정보통신(KICC)의 최근 주가가 하락하는 이유를 몇 가지 요인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 1. 금융권 규제 및 카드 수수료 인하 압박

    한국정보통신의 주요 수익원은 카드 결제 단말기 및 VAN 수수료입니다. 하지만 정부의 가맹점 카드 수수료 인하 정책이 지속되면서, VAN 업체들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 주요 이슈:

    • 금융 당국이 영세·중소 가맹점의 카드 수수료 부담을 낮추기 위해 지속적으로 수수료율을 조정
    • VAN 업체들이 카드사로부터 받는 수수료도 이에 맞춰 하락
    • 결과적으로 한국정보통신의 매출 및 영업이익 감소

    관련 뉴스 : 금융위원회 및 여신금융협회에서 발표하는 카드 수수료 관련 정책


     

     

     

    📉 2. 소비 경기 침체 및 오프라인 결제 감소

    한국경제가 침체하면서 소비 지출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오프라인 매장 이용률이 감소하면서 VAN 결제 건수도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 특히 영향받는 분야:

    •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의 매출 감소
    • 코로나 이후 비대면 결제(페이코,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증가
    • 온라인 결제가 증가하면서 오프라인 단말기 이용 감소

    📌 대형 가맹점들은 자체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VAN 업체 의존도를 줄이고 있음


     

    📉 3. 경쟁 심화 및 핀테크 기업 성장

    최근 카카오페이, 토스 등 핀테크 기업들이 결제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며, VAN 업체들의 입지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 예상되는 영향:

    • 핀테크 기업들이 직접 결제 네트워크를 구축하면서 VAN 수수료를 줄이는 방식 채택
    • QR코드 결제, 간편 결제 시장 확대 → 기존 카드 단말기 기반의 VAN 비즈니스 영향
    • 기존 VAN 업체들의 경쟁 심화 → 가격 경쟁으로 인해 마진 감소

    핀테크 시장 동향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


     

    📉 4. 기술 변화 및 사업 구조 전환 지연

    한국정보통신이 전통적인 VAN 서비스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업 모델을 확장하지 못한다면 시장 변화에 뒤처질 가능성이 큽니다.

    🔹 경쟁사 대비 약점:

    • 핀테크 기업들은 클라우드 기반 결제 및 정산 시스템 도입
    • 해외 결제 시스템 확장 속도 느림 (토스·카카오페이 등은 해외 결제 연계 강화 중)
    • 신규 성장 동력(예: BNPL, 가상자산 결제 등) 확보가 부족

    기술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


    📉 5.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의 매도세

    최근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정보통신 주식을 매도하는 경향이 보입니다.

    🔹 주요 원인:

    • VAN 산업의 성장성이 제한적이라는 판단
    • 중소형 기업으로서 성장 모멘텀이 부족
    • 배당 매력도가 크지 않음 (배당수익률 낮음)

    기관·외국인 투자자의 매매 동향을 꾸준히 체크하는 것이 중요


     

     

     

    🚨 결론: 한국정보통신 주가 하락 원인 요약


    원인 영향
    카드 수수료 인하 정책 VAN 업체들의 수익 감소 → 매출 하락
    경기 침체 및 오프라인 결제 감소 카드 결제 건수 감소 → VAN 수익 감소
    핀테크 경쟁 심화 QR코드·간편결제 확산 → 기존 카드 단말기 이용 감소
    기술 변화 및 사업 전환 지연 성장 동력 부족 → 장기적인 기업 가치 하락
    외국인 및 기관 투자자의 매도 수급 악화 → 주가 하락 압력

    한국정보통신 기관매수

    📌 앞으로의 주가 전망

    • 단기적으로는 카드 수수료 정책 변화와 경기 회복 여부가 중요
    • 장기적으로는 핀테크 시장 대응 및 신규 사업 진출이 핵심

    🚨현재 주가 하락이 일시적인 조정인지, 구조적인 문제인지 IR 자료 및 금융당국 정책 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해 봐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는데, 기관이 꾸준히 매집하고 있고 실적이 상향하는 가운데 주가의 흐림이 이런 이상한 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그래도 9,400원은 와야 평단가 수준이 되는 것 같아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한국정보통신 주가보기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
    맨위로